My work is about an exploration of loss, memory, and love that are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my personal experience. Inspired by the traditional Korean ritual 'Gijesa/忌祭祀', a spiritual ritual practiced in Korea as a way for Koreans mourn for the deceased. It is a Confucian memorial rite held to honour the ancestors at the earliest hour on the anniversary of their death(忌日) with food offerings prepared the day before. I reinterpret this traditional rite as an imaginary space on canvas where one can meet lost love(s). Therefore, the process of painting to me is regarded as a ritual ceremony for mourning and recalling the dead. Koreans believe that our ancestors visit us to see how we are doing and bless us on the day. I grew up watching, helping preparation and doing the ritual every months - I remember complaining about keeping the door open in the cold weather. I was scolded because I attempted to shut the door which can interrupt our ancestor coming in.


Regarding that, I repeatedly portray dining scenes, thus consider myself as a host who invites and prepares to meet them. Movement with direction is often found in my painting. The energy flow from the movement is massively influenced by (Gi)Jesa performance sequences such as Choheon(初獻) - initial offering, Sapsi(揷匙) - spoon insertion to a bowl of rice and Heonda(献茶) - tea offering.


While repeatedly depicting dinner scenes (or dining settings), I imagine that I invite beloved ones (who already passed away or unlikely to be able to see again) and have a dinner. I further represent myself within the canvas as a figure of multiple forms. As I see my feelings as edible, I serve them in the form of figures - hoping that by consuming me, the food(figure), I can expel a feeling of myself that becomes a part of them.


They, my figures, become represented as a rebellious force unlike traditional sacrifices. For instance, there are scenes of them spilling tea and feeding no food. And it is a passive aggressive protest in order to cause a delay in dinner. As the host and sacrifices at the same time, I keep interrupting the dinner through unconventional means wishing this gathering never ends, therefore guests cannot leave.


This wish also can be achieved in introducing Obangsaek(五方色), a traditional Korean colour spectrum based on Wu Xing(五行) philosophy in China. It consists of white(representing West), black(North), blue(East), yellow(Centre) and red(South). Obansaek is widely used in Korean traditional arts and textile patterns and commonly found in Shamanism and Buddhism in Korea. My grandmother and dad often took us to a temple surrounded by Obangsaek art and taught how to make/act a wish.


I think I just wanted to speak in a familiar way - For a Korean artist living in London, speaking in Korean/Asia culture has been a connecting bridge between 9hours time gap and 5,502 mi distance, and it taught me how heartbreakingly beautiful to practice my way of 'impossible mourning' by Jacques Derrida.


한국인이 고인을 애도하는 영적 전통 의례인 기제사에서 영감을 받은 제 작업은, 아주 사적인 경험에서 비롯한 상실, 기억 그리고 사랑에 관한 탐구입니다. 유교적인 기념 제의인 기제사는 조상님의 기일로 넘어오는 자정이 되자마자 그 전 날 미리 정성들여 준비한 음식들을 대접하며 조상님을 기리죠. 저는 이 전통적인 의례를 캔버스로 가져와 제가 상실한 사랑(들)을 만나는 상상적인 공간으로 재해석합니다. 그리고 그림을 그림으로써 애도하고 죽은 이들을 다시 부르는 제의적 행위를 수행한다고 여깁니다. 한국인들은 우리의 조상님들이 우리가 어떻게 지내는지 보고, 우리를 여전히 챙기시러 당신의 기일에 우리를 찾는다고 믿죠. 저는 매달 이러한 일련의 믿음 체계(제사)를 보고, 준비하고, 그리고 지내오면서 자랐습니다 - 한 날은 추운 날씨에 열린 문을 닫으려고 했다가 그만 삼촌께 혼나기도 했답니다. 돌아가신 어르신의 방문을 위해 자칫 제가 막을 뻔 했던거죠.


그런 의미에서, 저는 반복적으로 식사장면들을 그리고, 스스로를 식사 자리의 주최자라고 생각합니다. 사랑의 대상이자 상실의 대상인 자들을 끊임없이 초대하고, 그들을 만날 준비를 합니다. 제 그림에서 종종 방향이 있는 움직임들을 찾을 수 있는데, 이러한 힘의 흐름은 초헌, 삽시, 헌다와 같은 제사의 수행순서로 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은 것들입니다.


반복적으로 식사와 관련된 구성들을 그려내면서, 저는 제가 사랑하는 이들을 초대하고 그들과 식사를 가지곤 합니다. 더 나아가 제 자신을 그림 속 여러 형태의 피겨들로 나타내고, 그들을 손님께 음식으로써 대접합니다. 저는 감정들을 먹을 수 있는 것으로 보기 때문에 그것을 담은 피겨들을 식탁 위에 내놓고, 손님들이 식탁 위의 저를 소비함으로써, 그들이 제 마음을 온전히 느끼고, 저 또한 그들의 일부가 되어 그들을 온전히 알 수 있기를 소망합니다.


회화 속 피겨들은 보통의 전통적 제물과는 달리 반항적으로 줄곧 재현되곤 합니다. 가령, 차를 쏟는다든지, 음식 없이 무언가를 먹이든지요. 이러한 행위들은 식사 자리를 지연시키기 위한 우회적인 시위와 같습니다. 식사를 주최한 주인이자 제물인 저는, 손님들이 떠나지 않기를 바라면서 비관습적인 방법들을 통해 계속해서 이 식사자리를 지연시키고, 그럼으로써 이 만남이 결단코 끝나지 않도록 합니다.


이러한 제 바람은 오방색을 도입함으로써도 빌어지고 있습니다. 중국의 오행 사상에 입각한 한국 전통 색 스펙트럼인 오방색은, 하양, 검정, 파랑, 노랑, 빨강으로 구성되있으며 각각 서, 북, 동, 중앙, 남쪽을 의미합니다. 전반적인 한국 전통 미술, 불교 미술과 패턴, 한국 민속/민간 신앙에서 오방색의 영향을 쉽게 찾을 수 있죠. 제 할머니와 아버지는 종종 저와 동생을 오방색 미술로 둘러 쌓인 있는 사찰에 데리고 가서 소원을 빌거나 행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셨습니다. 제 작업은 이러한 고리들을 이어 붙여 '불가능한 애도'를 실천하는 것이자, 런던에 거주하는 한국인 예술가로서 자연스럽게 느끼는 시/공간적 거리와 문화적 차이를 가장 익숙한 방식으로 좁혀가는 삶의 태도입니다.